- [농작물 재배기술] 게시판은 주요 농작물을 대상으로 재배기술 교재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부분적인 내용을 게시하여 교육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운영됩니다.
팥 표준 재배법
▶ 팥 표준 재배법
1. 종자준비
가. 크기가 균일하고 이병, 해충, 기계적 손상 등이 없는 건전한 종자
나.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급하는 발아력 80% 이상인 종자
2. 파종방법
가. 파종적기는 평균기온 15∼16℃가 되는 시기
* 너무 일찍 심게 되면 영양생장 과다로 쓰러짐에 약하고 병해충 피해 우려
나. 파종량은 적기에 파종 시 3∼4㎏/10a, 늦은 파종 시 5∼7㎏/10a
다. 재식거리는 6월 중순 파종 시 60㎝×10∼15㎝으로 파종, 7월 파종 시 생육이 적으므로 60㎝×10㎝ 정도로 파종하고 포기당 파종량은 2∼3립
* 적정 재식밀도는 ㎡당 40∼70개체
▶ 팥 적정 재식방법
- 이랑너비는 한 이랑에 한 줄씩 심을 때 60㎝으로 하고, 포기당 간격은 10∼15㎝(만파의 경우 10㎝)으로 함
※ 기계화 재배의 경우 이랑너비는 70㎝가 적당
- 한 이랑에 두 줄씩 심을 때 이랑너비는 120㎝으로 하고, 두 줄사이의 간격은 40㎝, 포기당 간격 10∼15㎝
(만파의 경우 10㎝)으로 함
- 포기당 2∼3립 파종하고 파종량은 적기 파종 시 3∼4㎏/10a, 늦은 파종 시 5∼7㎏/10a으로 함
적정 재식밀도는 단위면적(㎡)당 40∼70개체
높은이랑 점뿌림 재배
3. 시비량
가. 퇴비는 1,000㎏/10a 이상 사용
나. 시비는 전량 밑거름으로 10a 당 질소 2∼4, 인산 4∼6, 가리 4∼6㎏을 시비하고, 생육이 부진할 경우 개화10일 후에 요소 0.1∼0.5%를 엽면시비
4. 관리
가. 보식 및 보파
1) 보식은 포장에서 2∼3주씩 연속으로 결주 시 실시
2) 보파는 대규모 재배 시 출아가 끝난 후 ㎡당 포기수가 30주 이하일 때 실시
나. 솎기작업은 1주당 4개체 이상인 경우 초생엽이 완전히 전개된 시기에 2∼3개체가 되도록 실시
다. 중경제초 작업은 반드시 개화 전에 마쳐야 하는데, 개화 이후에 중경제초작업을 실시할 경우 작업중에 뿌리 및 줄기의 손상이 발생하면 손상된 뿌리 및 줄기가 회복이 되지 않아 수량감소를 초래함
라. 배토작업의 시기는 본엽 2, 4, 7엽기에 실시하면 10% 증수효과가 있지만, 농작업의 편의를 위해 종합관리기 이용하여 2회 정도를 실시
* 적심효과는 매우 낮아 실시하지 않음
5. 수확 및 탈곡
가. 수확시기는 중부지방은 10월 상·중순에, 남부지방은 10월 중·하순에 꼬투리가 70∼80% 익었을 때 한번에 수확
나. 탈곡은 수확 후 4∼6일 건조하여 종실수분이 20% 이하일 때 탈곡기(회전속도 500∼600rpm)를 이용하여 실시
6. 육성품종 현황
▶ 팥 주요 품종 특성
충주팥 홍언 아라리
7. 작부체계
- 팥은 이어짓기(연작)하면 땅심(지력)이 떨어지고, 병해충가 만연하며, 잡초가 쉽게 우거져 수량과 품질이 떨어지는 등 연작피해가 발생하여 돌려짓기(윤작)를 해야 함
▶ 밀 + 팥 작부체계
▶ 담배+팥 작부체계
* 담배잎 수확기 전인 7월 상순에 팥을 파종하는 것이 중요
▶ 팥 작부체계 시 고려사항
- 주 소득 작물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
- 주작물에 따라 함께 재배할 작물 선택 및 재배방법 다름
- 늦은 파종(만파)을 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서 수량감소를 보완할 대책이 필요
8. 병해
▶ 주요 병해의 특징 및 방제법
9. 해충
▶ 해충 및 방제법
- 주요 해충은 거세미나방류, 파밤나방, 콩줄기명나방, 노린재류, 팥바구미, 진딧물 등임
가. 노린재류
- 노린재류는 꼬투리 및 씨알에 구침을 찔러 즙액을 빨아먹으며 꽃필 때부터 거두기 시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함
[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]
알 약충 성충
[가로줄노린재]
알 약충 성충
[알락수염노린재]
알 약충 성충
- 방제방법으로 다발생시기에 약제를 살포하고, 집합페로몬트랩을 설치함
나. 팥바구미
- 팥바구미는 수확한 후 저장중인 팥 종실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피해입은 곡물은 냄새가 나고 싹이 나지 않음. 수확한 팥의 약 20%가 팥바구미에 감염, 팥 성숙기에 꼬투리 또는 씨알 표면에 산란 후에 부화한 유충이 팥 종실 속에서 유충태로 월동 후 생장
팥바구미
유충 성충 피해
팥 종실의 저장온도에 따른 팥바구미 성충의 발생률
* 팥바구미에 감염된 씨앗은 3% 소금물에 5분간 침지했을 때 뜨는 것으로 구별 가능
- 방제방법은 65℃ 전후 온탕 5분간 종자침지 또는 인화늄정제를 ㎥당 4정을 기준으로 3∼4 일간 밀폐된 공간에서 종자훈증을 실시하고, 팥 종자는 10℃ 이하 저온에서 보관하면 팥바구미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음
다. 나방류
- 나방류는 유충이 작물의 잎이나 줄기를 갉아먹어 피해를 입힘
담배거세미나방
유충 성충 피해
파밤나방
유충 성충 피해
- 방제방법은 발생초기에 방제약제를 살포해주고 유인등을 이용하여 성충의 밀도를 낮춰주는 것도 효과적임
▶팥 담배거세미나방 적용 약제
라. 진딧물
- 진딧물은 어린줄기와 꼬투리에 무리를 이루어 수액을 빨아 먹으며, 작물에 바이러스병을 옮김. 진딧물 배설물에 의한 그을음병이 팥 꼬투리에 발생함
아카시진딧물
약충과 성충 피해
- 방제방법은 진딧물 발생초기에 방제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∼3회 엽면 살포함